tft每日頭條

 > 科技

 > 韓語經典語法講解

韓語經典語法講解

科技 更新时间:2025-02-04 01:04:18

韓語經典語法講解?關于這本書就不再做過多介紹了五百多頁的内容一頁一頁翻過,把整本書的語法框架和所有要點全部手打下來并進行翻譯,word文檔顯示有30頁,一萬餘字,前後花了将近兩周的時間整理,内容豐富全面且專業,涉及很多專業術語,所以需要花費一定時間認真對待,與日常話語的翻譯不同,需要保證準确度和嚴謹性,我來為大家講解一下關于韓語經典語法講解?跟着小編一起來看一看吧!

韓語經典語法講解(韓國語語法框架要點總整理)1

韓語經典語法講解

關于這本書就不再做過多介紹了。五百多頁的内容一頁一頁翻過,把整本書的語法框架和所有要點全部手打下來并進行翻譯,word文檔顯示有30頁,一萬餘字,前後花了将近兩周的時間整理,内容豐富全面且專業,涉及很多專業術語,所以需要花費一定時間認真對待,與日常話語的翻譯不同,需要保證準确度和嚴謹性。

這是一本韓語語法系統整理講解的寶書,将這本書讀完并對其中的各個知識點都有一個良好理解不錯掌握的時候說明韓語語法學習已經達到了一定高度,可以略微人師了。

任何一門語言,都是一個世界。很多人對待語言,隻是簡單地把它當做一個“工具”來使用,其實當做專業深入地學習一下就會發現任何一門語言都是連接你與所有使用那門語言的整個群體之間的一座橋梁,背後是使用這門語言的一個或多個國家地區的文化思想、思維方式及社會生活的各個方面,所以語言學習是沒有盡頭的,對待外來文化,和我們自己的文化,去其糟粕之前還有取其精華四個字,這些都是取之不盡用之不竭的精神财富,且随着社會發展,文化在傳承的同時也在不斷創新,迸發新的生命力,希望大家都能夠認真對待,在學習語言,品讀文化的過程中獲得個人成長的養分和動力,成為更優秀的自己,為祖國和家鄉發展做貢獻。

韓語是一個小語種,關注的人不多,學習,且認真學習的人不會太多,這也從開始就注定了這是一個觀衆不多的小世界,也不打算做過多的宣傳,隻是默默地整理一些韓語學習知識、與韓國有關的故事及經驗、當做一種個人愛好去分享一些個人日常學習中摘錄收藏過的一些韓語美文或句段,利用閑暇時間翻譯一些韓語優秀書籍等,為需要的朋友提供借鑒參考。如果你也對這個領域感興趣,想要深入,或正在學習,可以多多交流一起進步。

以下是本書語法框架及要點總整理的正文部分的中韓語對照翻譯版本。


제1부 한국어 문법 교육과 한국어

第一部 韓語語法教育和韓語

제1장 한국어 문법 교육의 성격과 목표

第一章 韓語語法教育的性質和目标

1. 한국어 문법 교육의 성격

1.韓語語法教育的性質

-한국어 문법이란 무엇일까?

-韓語語法是什麼?

-한국어 문법 교육은 왜 필요할까?

-韓語語法教育為什麼需要?

2. 한국어 문법 교육의 목표

2.韓語語法教育的目标

-한국어 문법 교육의 목표는 무엇일까?

-韓語語法教育的目标是什麼?

제2장 한국어 문법의 기술과 내용 체계 수립 방향

第二章 韓語語法的記述和内容體系豎立的方向

1. 한국어 문법 기술의 방향

1.韓語語法的記述方向

-한국어 문법과 학교문법의 차이는 무엇일까?

-韓語語法和學校語法之間的差異是什麼?

-한국어 문법은 어떻게 체계화해야 할까?

-韓語語法要如何體系化?

어순의 체계화 방향(語序的體系化方向), 문장 확대의 체계화 방향(句子的擴大體系化方向), 높임법의 체계화 방향(敬語的體系化方向), 문법 형태 학습 단위 설정 방향(語法形态學習單位設定方向), 학습자 오류 정보 제시(學習者偏誤分析提示), 구체적인 문맥 정보 제시(提出具體的文脈信息), 구체적인 상황 정보 제시(提出具體的情況信息), 이해하기 쉬운 문법 용어 사용(使用理解起來簡單的語法術語)

2. 한국어 문법의 내용 체계 수립 방향

2.韓語語法的内容體系豎立方向

-한국어 문법의 내용 체계의 구성 방향은 어떠해야 할까?

-韓語語法的内容體系的構成方向該如何來定?

제3장 한국어의 특징

第三章 韓語的特點

1. 한국어의 분포

1.韓語的分布

-한국어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을까?

-韓語有多少人在使用?

2. 한국어의 형태적 특징

2.韓語的形态特點

-한국어의 첨가어적 특징은 무엇일까?

-韓語的添加語的特點是什麼?

3. 한국어 문장의 특징

3.韓語句子的特點

-한국어 어순의 특징은 무엇일까?

-韓語的語序特點是什麼?

-한 문장에 주어나 목적어가 반복해서 나타날 수 있을까?

-一個句子中主語和賓語可以反複出現嗎?

4. 한국어 단어의 특징

4.韓語單詞的特點

-한국어의 단어 범주별 특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韓語單詞的不同範疇都有哪些特點呢?

명사(名詞), 의존명사(依存名詞), 대명사(代詞), 형용사(形容詞), 접속사(連詞), 조사(助詞), 어미(詞尾), 관형사(冠詞), 이다(是), 흉내말(拟語)

5. 한국어 소리의 특징

5.韓語聲音的特點

-한국어의 자음은 어떤 특징이 있을까?

-韓語的輔音有哪些特點呢?

-한국어 음절 구조의 특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韓語音節結構有哪些特點呢?

6. 그 밖의 한국어의 특징

6.除此之外韓語的特點

-한국어는 대화에 등장하는 사람들의 대우를 어떻게 할까?

-韓語對話裡登場的人們的待遇如何?

-한국어 문장에서 주어는 반드시 나타나야 할까?

-韓語的句子中主語一定要出現嗎?

제4장 한국어의 문자

第四章 韓語的文字

-한국어 교유 문자인 ‘한글’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韓語固有文字“한글(韓文)”是如何被創造的呢?

제2부 문장

第二部 句子

제5장 문장구조

第五章 句子結構

1. 어순

1.語序

-한국어 문장의 어순은 어떠할까?

-韓語的文章的語序是什麼?

주어 서술어(主語 謂語)

주어 목적어 서술어(主語 賓語 謂語)

-한국어 어순상의 특징은 무엇일까?

-韓語語序上的特點有哪些?

수식하는 말 수식받는 말(修飾語 被修飾語)

명사 조사(名詞 助詞)

본동사 보조동사(動詞 助動詞)

-한국어 문장에서 어순은 고정되어 있을까?

-韓語的句子裡語序是固定的嗎?

2. 기본 문형

2.基本句型

-한국어의 기본 문형은 어떻게 이루어질까?

-韓語的基本句型是如何構成的?

-기본 문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基本句型裡都哪些内容?

제6장 문장성분

第六章 句子成分

1. 주어

1.主語

-주어는 어떻게 표시될까?

-主語如何标示?

-주격조사 없이 주어를 표시할 수 있을까?

-沒有主格助詞可以表現主語嗎?

*주어와 주제어

*主語和主題詞/關鍵詞

-주어는 문장에서 어디에 위치할까?

-主語在句子中處于什麼位置?

-주어는 언제 생략될까?

-主語何時省略?

*중주어/서술절

*雙(重)主語/謂語節

2. 목적어

2.賓語

-목적어는 어떻게 표시될까?

-賓語如何标示?

-목적격조사 없이 목적어를 표시할 수 있을까?

-沒有賓語助詞可以表現賓語嗎?

-어떤 말들이 목적어가 될 수 있을까?

-什麼樣的内容可以成為賓語?

-목적어는 문장에서 어디에 위치할까?

-賓語在句子中處于什麼位置?

-목적어는 언제 생략될까?

-賓語何時省略?

*중목적어

*雙(重)賓語

3. 서술어

3.謂語

-어떤 말들이 서술어가 될 수 있을까?

什麼樣的内容可以成為謂語?

-서술어는 문장에서 어디에 위치할까?

-謂語在句子中處于什麼位置?

-서술어는 언제 생략될까?

-謂語何時省略?

4. 보어

4.補語

5. 관형어

5.定語

-어떤 말들이 관형어가 될 수 있을까?

-什麼樣的内容可以成為定語?

6. 부사어

6.狀語

-어떤 말들이 부사어가 될 수 있을까?

-什麼樣的内容可以成為狀語?

-부사어는 문장에서 어디에 위치할까?

-狀語在句子中處于什麼位置?

-필수적 부사어란 무엇일까?

-必須的狀語是什麼?

7. 독립어

7.獨立語

-어떤 말들이 독립어가 될 수 있을까?

-什麼樣的内容可以成為獨立語?

-독립어는 문장에서 어디에 위치할까?

-獨立語在句子中處于什麼位置?

제7장 문장의 종류

第七章 句子的種類

-한국어 문장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韓語句子的種類都有哪些?

-한국어에서 문장의 종류는 어떻게 표시될까?

-在韓語中句子的種類如何表現?

1. 평서문

1.陳述句

-한국어의 평서문은 어떤 모습일까?

-韓語的陳述句是什麼樣子?

-평서문을 만드는 어미들을 어떻게 구분해서 사용할까?

-創造陳述句的詞尾如何區分使用?

2. 의문문

2.疑問句

-한국어의 의문문은 어떤 모습일까?

-韓語的疑問句是什麼樣子?

-의문문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疑問句的種類都有哪些?

-의문문을 만드는 어미들을 어떻게 구분해서 사용할까?

-創造疑問句的詞尾如何區分使用?

-의문문의 억양은 모두 같을까?

-所有疑問句的語調都相同嗎?

3. 명령문

3.命令句

-한국어의 명량문은 어떤 모습일까?

-韓語的命令句是什麼樣子?

-명령문을 만드는 어미들을 어떻게 구분해서 사용할까?

-創造命令句的詞尾如何區分使用?

-명량의 의미는 명령문으로만 나타낼까?

-命令句的意義隻是以“命令”來出現的嗎?

4. 청유문

4.共動句

-한국어의 청유문은 어떤 모습일까?

-韓語的共動句是什麼樣子?

-청유문을 만드는 어미들을 어떻게 구분해서 사용할까?

-創造共動句的詞尾該如何區分使用呢?

5. 감탄문

5.感歎句

-한국어의 감탄문은 어떤 모습일까?

-韓語的感歎句是什麼樣子?

-감탄문을 만드는 어미들은 어떻게 구분해서 사용할까?

-創造感歎句的詞尾該如何區分使用呢?

제8장 문장의 확대

第八章 句子的擴大

-문장의 확대란 무엇일까?

-句子的擴大是什麼?

1. 문장의 연결

1.句子的連接

1.1 문장 연결 방법

1..1句子連接的方法

-문장과 문장은 어떻게 연결할까?

-句子和句子如何連接?

-문장을 연결할 때 주의할 점은 무엇일까?

-連接句子的時候都需要注意些什麼?

1.2 문장 연결의 종류

1.2句子連接的種類

-연결어미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連接詞尾都有哪些?

‘나열’의 의미로 연결(“羅列”意義的連接), ‘동시’의 의미로 연결(“同時”意義的連接), ‘순서’의 의미로 연결(“順序”意義的連接), ‘전환’의 의미로 연결(“轉換”意義的連接), ‘대립, 대조’의 의미로 연결(“對立,對照”意義的連接), ‘이유, 원인’의 의미로 연결(“理由,原因”意義的連接), ‘조건’의 의미로 연결(“條件”意義的連接), ‘목적’의 의미로 연결(“目的”意義的連接), ‘인칭’의 의미로 연결(“人稱”意義的連接), ‘선택’의 의미로 연결(“選擇”意義的連接), ‘방법, 수단’의 의미로 연결(“方法,手段”意義的連接), ‘배경’의 의미로 연결(“背景”意義的連接)

2. 문장의 안김

2.句子的包含

2.1 명사절

2.1名詞節

-명사절이란 무엇일까?

-什麼是名詞節?

-명사절은 어떻게 만들까?

-名詞節如何構成?

2.2 관형사절

2.2冠詞節

-관형사절이란 무엇일까?

-什麼是冠詞節?

-관형사절은 어떨게 만들까?

-冠詞節如何構成?

-관형사절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冠詞節都有哪些?

2.3 인용절

2.3引用節

-인용절이란 무엇일까?

-引用節是什麼?

-인용절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引用節的種類有哪些?

직접인용절, 간접인용절

直接引用節,間接引用節

-간접인용절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

-間接引用節有什麼特點?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청유문, 감탄문

陳述句,疑問句,命令句,共動句,感歎句

제3부 문법요소의 기능과 의미

第三部 語法要素的功能和意義

제9장 시간 표현

第九章 時間表現

-시제란 무엇일까?

-時态是什麼?

-한국어 시제는 어떤 체계로 구성될까?

韓語的時态由何種體系構成?

1. 현재시제

1.現在時态

-현재시제는 어떻게 표시할까?

-現在時态如何标示?

종결형의 현재시제 표시, 관형사형의 현재시제 표시

終結型的現在時态标示,冠詞型的現在時态标示

-현재시제를 나타내는 말은 현재만을 의미할까?

-出現現在時态的話語隻表示現在的意義嗎?

2. 과거시제

2.過去時态

-과거시제는 어떻게 표시할까?

-過去時态該如何标示?

종결형의 과거시제 표시, 연결형의 과거시제 표시, 관형사형의 과거시제 표시

終結型的過去時态的标示,連接型的過去時态的标示,冠詞型的過去時态的标示

-과거 회상을 나타내는 ‘-더-’는 어떻게 쓰일까?

表現過去,回想意義的“더”如何使用?

-과거시제를 나타내는 말은 과거만을 의미할까?

-出現過去時态的話語隻表示過去的意義嗎?

3. 미래시제

3.未來時态

-미래시제는 어떻게 표시할까?

-未來時态該如何标示?

-미래시제를 나타내는 말은 미래만 의미할까?

-出現未來時态的話語隻表示未來的意義嗎?

-관형사형의 미래시제 표시

-冠詞型的未來時态表現

제10장 높임 표현

第十章 敬語

-높임법이란 무엇일까?

-敬語是什麼?

1. 주체높임법

1.主體尊敬法

-주체를 어떻게 높여서 표현할까?

-如何提高主體來表達?

-여러 개의 서술어가 있는 문장에서는 ‘-(으)시-’를 어디에 붙일까?

-下面幾個有謂語存在的句子中‘-(으)시-’要放在哪裡?

-주체에 대한 간접 높임이란 무엇일까?

-對于主體的間接尊敬是什麼?

-주체가 말하는 사람보다 나이가 많거나 지위가 높으면 언제 높여서 말할까?

-主體比說話的人年紀大或者地位高的話何時該提高表達(使用敬語)?

2. 상대높임법

2.聽者尊敬語法

-상대를 어떻게 높여서 표현할까?

-如何提高聽者來表達?

-상대높임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聽者尊敬法有哪些?

-같은 대화에서 상대높임법의 등급이 섞여 사용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在同一段對話裡聽者尊敬法的等級混用的理由是什麼?

-상대높임법에서 주의해야 할 호응 관계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在聽者尊敬法裡需要注意的呼應關系有哪些?

-상대높임법은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의 관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질까?

-聽者尊敬法在随着說話人和聽的人的關系可以如何變化?

3. 특수 어휘에 의한 높임

3.特殊詞彙的尊敬表現

제11장 부정 표현

第十一章 否定表現

-부정법이란 무엇일까?

-否定法是什麼?

-부정법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否定的方法都有哪些?

1. ‘안’ 부정법

1.‘안’ 否定法

-’안’과 함께 쓰일 수 없는 서술어에는 어던 것들이 있을까?

-和‘안’不能一起使用的謂語有哪些?

-긴 부정문의 시제는 어떻게 표시할까?

-在長的否定句中該如何表現時态?

-부정문은 한 가지로만 해석될까?

-否定句隻有一種解釋形态嗎?

2. ‘못’ 부정법

2.‘못’否定法

-‘못’ 부정문의 유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못’ 否定句的類型有哪些?

3. ‘말다’ 부정법

3.‘말다’ 否定法

-부정의문문의 대답은 어떻게 해야 할까?

-該如何對否定疑問句進行回答?

4. 이중 부정법

4.雙重否定法

제12장 사동, 피동

第十二章 使動,被動

-사동, 피동이란 무엇일까?

-使動,被動是什麼?

1. 사동법

1.使動法

-사동법이란 무엇일까?

-什麼是使動法?

-사동법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使動表現的種類有哪些?

1.1 접미사동법

1.1詞綴使動法

-사동 접사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使動詞綴都有哪些?

자동사가 사동사가 되는 경우(自動詞成為使動詞的情況), 타동사가 사동사가 되는 경우(他動詞成為使動詞的情況), 형용사가 사동사가 되는 경우(形容詞成為使動詞的情況)

-접미사에 의한 사동문은 어떻게 만들까?

-根據詞綴形成的使動句如何形成?

1.2 ‘-게 하다’ 사동법

1.2‘-게 하다’使動法

-’-게 하다’ 사동문은 어떻게 만들까?

-‘-게 하다’ 使動句如何形成?

-접미사동문과 ‘-게 하다’사동문의 의미는 같을까?

-詞綴使動句和-게 하다使動句的意義相同嗎?

-사동을 표현하는 다른 방법은 없을까?

-還有表現使動的其他方法嗎?

2. 피동법

2.被動法

-피동법이란 무엇일까?

-什麼是被動法?

-피동법의 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被動表現都有哪些種類?

2.1 접미피동법

-詞綴被動法

-피동 접사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被動詞綴都有哪些?

-모든 타동사가 피동사가 될 수 있을까?

-所有的他動詞都可以成為被動詞嗎?

2.2 ‘어지다’ 피동법

2.2‘어지다’被動法

-피동문은 어떻게 만들까?

-如何造被動句?

-능동문과 피동문의 의미 차이는 무엇일까?

-主動句和被動句意義上的差别是什麼?

제13장 양태 표현

第十三章 樣态表現

1. 양태의 개념

1.樣态(模樣和态度)的概念

-양태란 무엇일까?

-樣态是什麼?

-양태적 의미는 어떻게 표현할까?

-樣态的意義該如何表現

2. 양태의 종류

2.樣态的種類

-양태를 나타내는 표현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樣态表現都有哪些?

추측(推測), 바람(希望), 판단(判斷), 행동 지시(行動指示), 의도*의지(意圖*意志), 능력(能力)

제4부 단어

第四部 單詞

제14장 단어의 구조

第十四章 單詞的結構

1. 던어와 형태소

1.單詞和形态素

-형태소란 무엇일까?

-形态素是什麼?

-단어란 무엇일까?

-單詞是什麼?

-단어와 형태소는 어떻게 다를까?

--單詞和形态素有何不同?

2. 단어의 구성 요소

2.單詞的構成要素

-단어는 어떤 구성 요소로 이루어질까?

-單詞由哪些構成要素組成?

-어근이란 무엇일까?

-詞根是什麼?

-접사란 무엇일까?

-詞綴是什麼?

3. 단일어

3.單純詞

4. 복합어

4.複合詞/合成詞

-직접 구성요소란 무엇일까?

-什麼是直接構成要素?

4.1 파생어

4.1派生詞

-파생어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派生詞都有哪些?

접두사에 의한 파생어(根據前綴構成的派生詞), 접미사에 의한 파생어(根據詞尾構成的派生詞)(파생명사(派生名詞), 파생동사(派生動詞), 파생형용사(派生形容詞), 파생부사(派生副詞))

4.2 합성어

4.2合成詞

-합성어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合成詞都有哪些?

통사적 합성어(通史合成詞), 비통사적 합성어(非通史合成詞)(합성명사(合成名詞), 합성동사(合成動詞), 합성형용사(合成形容詞), 합성부사合成副詞)

제15장 단어의 갈래

第十五章 單詞的分支

1. 동사 * 형용사 * 이다

1.動詞 * 形容詞 * 是

1.1 동사

1.1動詞

-동사란 무엇일까?

-動詞是什麼?

1.1.1 동사의 특징

1.1.1動詞的特點

-동사는 문장 내에서 어떤 구실을 할까?

-動詞在句子中起什麼作用?

1.1.2 동사의 활용

1.1.2動詞的活用

-동사의 활용이란 무엇일까?

-動詞的活用是什麼?

-동사의 활용은 언제나 규칙적일까?

-動詞的活用什麼時候是規則的?

-동사의 불규칙활용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動詞的不規則活用有哪些?

어간만 바뀌는 불구칙활용(隻有詞幹變化的不規則活用), 어간이 바뀌는 구칙활용(詞幹變化的規則活用), 아간은 바뀌지 않고 어미만 바뀌는 불규칙활용(詞幹不變,詞尾變化的不規則活用)

1.1.3 동사의 종류

1.1.3動詞的種類

-자동사란 무엇일까?

-自動詞是什麼?

-타동사란 무엇일까?

-他動詞是什麼?

-보조동사란 무엇일까?

-(補)助動詞是什麼?

1.1.4 동사 구문

1.1.4動詞句型

-자동사 구문은 어떤 모습일까?

-自動詞句型是什麼樣子?

-타동사 구문은 어떤 모습일까?

-他動詞句型是什麼樣子?

1.2 형용사

1.2形容詞

-형용사란 무엇일까?

-形容詞是什麼?

1.2.1 형용사의 특징

1.2.1形容詞的特點

-형용사는 문장 내에서 어떤 구실을 할까?

-形容詞在句子中起到什麼作用?

1.2.2 형용사의 활용

1.2.2形容詞的活用

-형용사도 모양이 바뀔까?

-形容詞的樣子也會發生變化嗎?

-형용사의 활용은 언제나 규칙적일까?

-形容詞的活用什麼時候是規則的?

-형용사의 불규칙활용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形容詞的不規則活用有哪些?

어간만 바뀌는 불규칙활용(隻有詞幹變化的不規則活用), 어간과 어미가 모두 바뀌는 불규칙활용(詞幹和詞尾都變化的不規則活用), 어간이 바뀌는 규칙활용(詞幹變化的規則活用), 어간은 바뀌지 않고 어미만 바뀌는 불규칙활용(詞幹不變,詞尾變化的不規則活用)

1.2.3 형용사의 종류

1.2.3形容詞的種類

-속성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란 무엇일까?

-體現屬性或狀态的形容詞是什麼?

-심리형용사란 무엇일까?

-心理形容詞是什麼?

-보조형용사란 무엇일까?

-輔助形容詞是什麼?

-있다/없다

-有/沒有

1.2.4 형용사의 구문

1.2.4形容詞的句型

-형용사 구문은 어떤 모습일까?

-形容詞句型是什麼樣子?

-’있다/없다’ 구문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有/沒有”句型有哪些?

1.3 이다

1.3이다(是)

-’이다’란 무엇일까?

-“이다(是)”是什麼

1.3.1 ‘이다’의 특징

1.3.1“이다(是)”的特點

-’이다’는 동사나 형용사와 무엇이 다를까?

-“이다(是)”和動詞與形容詞都有哪些不同?

-’이다’는 문장에서 어떤 기능을 할까?

-이다(是)在句子中承擔什麼樣的功能?

1.3.2 ‘이다’의 활용

1.3.2이다(是)的活用

-’이다’는 어떤 형태로 활용을 할까?

-이다(是)以一種什麼樣的形态活用?

1.3.3 ‘이다’구문

1.3.3이다(是)句型

-’이다’ 구문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이다(是)句型有哪些?

2. 명사, 대명사, 수사

2.名詞,代詞/代名詞,數次

2.1 명사

2.1名詞

2.1.1 명사의 특징과 종류

2.1.1名詞的特點和種類

-명사는 어떤 특징이 있을까?

-名詞有哪些特點?

-명사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名詞的種類都有哪些?

2.1.2 단위를 나타내는 의존명사

2.1.2表示單位的依存名詞

-단위를 나타내는 의존명사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變現單位的依存名詞都有哪些?

-단위를 나타내는 위존명사는 반드시 써야 할까?

-表示單位的依存名詞必須使用嗎?

2.2 대명사

2.2代詞

2.2.1 대명사의 특징과 종류

2.2.1代詞的特點和種類

-대명사는 어떤 특징이 있을까?

-代詞有哪些特點?

-대명사에는 어떤 종류가 있을까?

-代詞有哪些種類?

2.2.2 인칭대명사

2.2.2人稱代詞

-인칭대명사란 무엇일까?

-人稱代詞是什麼?

-일인칭대명사는 어떤 특징을 보일까?

-人稱代詞有哪些特點?

-이인칭대명사는 어떤 특징을 보일까?

-第二人稱代詞有哪些特點?

-삼인칭대명사는 어떤 특징을 보일까?

-第三人稱代詞有哪些特點?

정칭대명사, 재귀대명사(反身代詞)

2.2.3 지시대명사

2.2.3指示代詞

-지시대명사는 무엇이며 어떤 특징이 있을까?

-指示代詞是什麼?有什麼特點?

2.2.4 의문대명사와 부정대명사

2.2.4疑問代詞和否定代詞

-의문대명사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疑問代詞都有哪些?

-부정대명사란 무엇일까?

-否定代詞都有哪些?

2.3 수사

2.3數詞

2.3.1 수사의 특징과 종류

2.3.1數詞的特點和種類

-수사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數詞都有哪些?

2.3.2 수량을 나타내는 수사

2.3.2表示數量的數詞

-수량을 나타내는 고유어 수사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表示數量的固有數詞有哪些?

-수량을 나타내는 한자어 수사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表示數量的漢字數詞有哪些?

-고유어 수사와 한자어 수사는 어떻게 구별해서 사용할까?

-固有數次和漢字數詞如何區别使用?

2.3.3 차례를 나타내는 수사

2.3.3表示次序的數詞

-차례를 나타내는 고유어 수사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表示次序的固有數詞有哪些?

-차례를 나타내는 한자어 수사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表示次序的漢字數詞有哪些?

3. 조사

3.助詞

3.1 조사의 특징과 종류

3.1助詞的特點和種類

3.2 격조사

3.2格助詞

3.2.1 주어와 목적어임을 나타내는 조사

3.2.1表現主語和賓語的助詞

-주격조사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主格助詞有哪些?

이/가, 께서, 에서

-주격조사의 특수한 쓰임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主格助詞都有哪些特殊用法?

-주격조사는 언제 생략할 수 있을까?

-主格助詞什麼時候可以省略?

-목적격조사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賓格助詞有哪些?

-목적격조사의 특수한 쓰임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賓格助詞都有哪些特殊用法?

-목적격조사는 언제 생략할 수 있을까?

--賓格助詞什麼時候可以省略?

3.2.2 관형어와 부사어임을 나타내는 조사

3.2.2表示定語和狀語的助詞

-관형격조사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冠形格助詞有哪些?

-부사격조사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副詞格助詞都有哪些呢?

장소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부사격조사(表現“場所”使用的副詞格助詞), 시간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부사격조사(表現“時間”使用的副詞格助詞), 사람이나 동물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부사격조사(表現“人和動物”使用的副詞格助詞), 도구나 수단, 재료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부사격조사(表現“工具、手段、材料”使用的副詞格助詞),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부사격 조사(表現“範圍”使用的副詞格助詞), 이유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부사격조사(表現“理由”使用的副詞格助詞), 단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부사격조사(表現“單位”使用的副詞格助詞), 변화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부사격조사(表現“單位”使用的副詞格助詞), 비교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부사격조사(表現“比較”使用的副詞格助詞), 상황이나 영역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부사격조사(表現“情況、領域”使用的副詞格助詞)

3.2.3 독립어임을 나타내는 조사

3.2.3表現獨立語的助詞

3.3 보조사

3.3(輔)助詞

3.3.1 보조사의 특징

3.3.1助詞的特點

3.3.2 보조사의 유형

3.3.2助詞的類型

대조의 의미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보조사(表現“對照”意義使用的助詞), 주제의 의미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보조사(表現“主題”意義使用的助詞), 배타나 한정의 의미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보조사(表現“排他與限定”意義使用的助詞), 포함이나 더함의 의미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보조사(表現“包含、添加”意義使用的助詞), 선택의 의미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보조사(表現“選擇”意義使用的助詞)

3.4 접속조사

3.4接續助詞

3.5 조사 간의 결합

3.5助詞間的結合

4. 관형사, 부사

4.冠詞,副詞

4.1 관형사

4.1冠詞

4.1.1 관형사의 특징

4.1.1冠詞的特點

-관형사란 무엇일까?

-冠詞是什麼?

-관형사의 특징은 무엇일까?

-冠詞有什麼特點?

4.1.2 관형사의 종류와 어순

4.1.2冠詞的種類和語序

-관형사에는 어떤 종류가 있을까?

-冠詞都有哪些種類?

성상관형사(性狀冠詞), 지시관형사(指示冠詞), 수관형사(數冠詞)

-관형사는 어떤 순서로 결합할까?

-冠詞以什麼順序結合?

4.2 부사

4.2副詞

4.2.1 부사의 특징

4.2.1副詞的特點

-부사란 무엇일까?

-副詞是什麼?

-부사의 특징은 무엇일까?

-副詞有何特點?

4.2.2 부사의 종류

4.2.2副詞的種類

-부사에는 어떤 종류가 있을까?

--副詞有哪些種類?

성분부사(成分副詞), 문장부사(句子副詞)

5. 감탄사

5.感歎詞

5.1 감탄사의 특징

5.1感歎詞的特點

-감탄사란 무엇일까?

-感歎詞是什麼?

-감탄사는 문장에서 어디에 놓일까?

-感歎詞在句子中處于什麼位置?

-감탄사는 문장에서 어떤 역할을 할까?

-感歎詞在句子中承擔什麼角色?

5.2 감탄사의 종류

5.2感歎詞的種類

-감탄사에는 어떤 종류가 있을까?

-感歎詞有哪些種類?

-어떤 감탄사를 많이 사용할까?

-什麼樣的感歎詞經常使用?

제5부 말의 소리

第五步 話的聲音

제16장 한국어의 모음, 자음

第十六章 韓語的原因,輔音

-모음과 자음은 어떻게 다를까?

-元音和輔音有何不同?

1. 한국어의 모음

1.韓語的元音

1.1 한국어 모음의 종류

1.1韓語元音的種類

-한국어 모음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韓語的元音都有哪些?

1.2 한국어 모음의 특징

1.2韓語元音的特點

-한국어 단모음의 특징은 무엇일까?

-韓語的單元音有什麼特點?

-한국어 이중모음의 특징은 무엇일까?

-韓語的雙元音有什麼特點?

2. 한국어의 자음

2.韓語的輔音

-한국어 자음은 어떻게 나누어질까?

-韓語的輔音如何構成?

-조음 위치에 따라 한국어 자음은 어떻게 분류될까?

-根據發音位置韓語的輔音該如何分類?

-조음 방법에 따라 한국어 자음은 어떻게 분류될까?

-根據發音的方法韓語的輔音該如何分類?

-소리의 세기에 따라 한국어 자음은 어떻게 분류될까?

-根據聲音的強弱韓語的輔音該如何分類?

3. 한국어 소리의 길이, 억양, 연접

3.韓語的聲音的長段,語調,連接停頓

-의미 구별은 자음과 모음의 교체로만 이루어질까?

-意思的區别隻通過輔音和元音的交替來實現嗎?

-한국어에서 소리의 길이는 어떤 특징을 가질까?

-韓語中聲音的長度有什麼特點?

-한국어에서 억양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

-在韓語中語調有什麼特點?

-한국어에서 연접은 어떤 특징을 가질까?

-在韓語中連接停頓有什麼特點?

제17장 한국어의 음절

第十七章 韓語的音節

1. 음절의 개념

1.音節的概念

-음절이란 무엇일까?

-音節是什麼?

2. 한국어의 음절 구조

2.韓語的音節結構

-한국어 음절 구조의 특징은 무엇일까?

-韓語的音節結構有什麼特點?

제18장 한국어 소리의 변동

第18章 韓語的聲音的變動

1. 소리 변동의 개념

1.聲音變動的概念

-모음과 자음의 변동은 언제 일어날까?

-元音和輔音的變動什麼時候發生?

2. 소리 변동의 종류

2.聲音變動的種類

-모음이나 자음은 어떤 경우에 변동할까?

-元音和輔音在什麼樣的情況下發生變動?

2.1 이웃하는 두 소리의 변동

2.1相鄰相接的兩個聲音的變動

2.1.1 모음과 모음의 연속

2.1.1元音和元音的接續

-모음축약이란 무엇일까?

-元音省略是什麼?

-모음탈락이란 무엇일까?

-元音脫落是什麼?

2.1.2 모음과 자음의 연속

2.1.2元音和輔音的接續

-유성음화란 무엇일까?

-什麼是濁音化?

-된소리화란 무엇일까?

-什麼是硬音化?

2.1.3 자음과 모음의 연속

2.1.3輔音和元音的接續

-연음법칙이란 무엇일까?

連音法則是什麼?

-입천장소리화란 무엇일까?

-上颚聲音化是什麼?

-’ㄴ’첨가란 무엇일까?

-ㄴ添加是什麼?

2.1.4 자음과 자음이 연속하는 경우

2.1.4輔音和輔音接續的情況

-자음동화란 무엇일까?

-輔音同化是什麼?

장애음 비음(障礙音 鼻音), 비음 유음(鼻音 流音), 장애음 유음(障礙音 流音)

-된소리화란 무엇일까?

-硬音化是什麼?

-유성음화란 무엇일까?

-什麼是濁音化?

-’ㄹ’탈락이란 무엇일까?

-ㄹ脫落是什麼?

-자음축약이란 무엇일까?

-輔音省略是什麼?

2.2 두 소리가 떨어져 있는 경우의 소리 변동

2.2兩個分開的音的情況下的聲音變動

-모음조화란 무엇일까?

-什麼是元音和諧?

-’ㅣ’모음 역행동화란 무엇일까?

-ㅣ元音逆行動話是什麼?

제6부 담화

第六部 談話

-담화란 무엇일까?

-談話是什麼?

제19장 글

第十九章 文章

1. 글의 구조

1.文章的結構

-글은 어떤 구성을 보일까?

-一篇文章的結構是什麼樣子的?

-글의 내용을 알 수 있게 하는 말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能讓人了解文章内容的話有哪些呢?

2. 결속장치

2.聯合裝置

2.1 접속하는 말

2.1連接的話語

2.2 지시하는 말

2.2指示的話語

2.3 반복되는 어휘

2.3反複的詞彙

2.4 어휘의 생략

2.4詞彙的省略

제20장 말

第二十章 話

1. 말의 구조

1.話的結構

1.1 시작과 마무리

1.1話的開始和收尾(結束)

-한국인은 대화를 어떻게 시작하고 어떻게 마무리할까?

-韓國人通常如何開啟一段對話和結束一段對話?

1.2 대응쌍

1.2對應語

-대응쌍이란 무엇일까?

-對應語是什麼?

-대응쌍은 문화에 따라 차이가 있을까?

-對應語根據文化不同有何差異?

-묻는 말에 언제나 대답해야 할까?

-什麼時候回答别人的問話?

2. 담화표지

2.談話标志

-담화표지란 무엇일까?

-談話标志是什麼?

3. 간접화행

3.間接表達

-간접화행이란 무엇일까?

-間接表達是什麼?

-들은 대로 이해해야 할까, 속뜻을 찾아야 할까?

-根據聽到的内容直接理解呢?還是要尋找話語裡的深層含義?

-직접적으로 말할까, 간접적으로 돌려 말할까?

-該直接地去表達呢?該是委婉一點間接地去表達想要說的意思呢?

-왜 돌려 말하는 것일까?

-為什麼要拐個彎去說話呢?

-어떻게 말하면 부드럽고 공손할까?

-怎樣說話才顯得柔和且謙遜恭敬呢?

4. 몸짓 언어

4.身體語言

-몸짓으로 생각을 전달할 수 있을까?

-用身體動作可以傳達自己的想法嗎?

-특정한 몸짓이 나타내는 뜻은 어디에서나 다 통할까?

-特定的身體動作表示的意思無論在哪裡都是一樣的嗎?

更多精彩资讯请关注tft每日頭條,我们将持续为您更新最新资讯!

查看全部

相关科技资讯推荐

热门科技资讯推荐

网友关注

Copyright 2023-2025 - www.tftnews.com All Rights Reserved